솔루션메이커

대학 리빙랩 프로젝트형 수업 - 학생이 제안한 정책이 실제로 도입된다고요?

SLW LAB 2025. 6. 10. 14:51

 

SLW LAB과 함께 만든 진짜 변화의 프로젝트형 수업

프로젝트형 수업 시간에 나온 아이디어가

서울 지하철 정책이 된 이야기, 믿기 어려우시죠?

 

하지만 이건 실제 사례입니다.

SLW LAB이 한양대학교 외국인 유학생들과 함께 만든

'교통약자를 위한 공공데이터 리빙랩' 프로젝트에서

실제로 3건의 정책이 도입 또는 실증 중입니다.

 

SLW LAB이 특별한 이유는 ‘실행까지 설계한다는 것’입니다

단순 프로그램 운영이 아닙니다

정책 도입까지 이어지는 RFP 흐름을 설계합니다

실제 정책기관·전문가와의 실증 협업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사례 1. 지하철도 ‘태그리스’ 시대

 

“양손에 짐이 가득하면, 찍는 것조차 장벽이 됩니다.”

 

학생들은 휠체어 사용자, 유아동 동반 승객 등 교통약자의 불편을 관찰했고,

다음과 같은 솔루션을 제안했습니다.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반 자동 결제 시스템

→ 단말기에 가까이 가기만 해도 결제 완료

 

📌 2025년 6월, 7호선 5개 역 시범 도입

📌 2025년 말, 1~9호선 전 노선 확대 예정 (서울교통공사 공식 보도자료)

 

 

✅ 사례 2. 시인성 강화 – ‘세이프로드 색상 유도 시스템’

 

 

“기존 스티커, 프로젝터는 잘 안 보였어요”

학생들은 시야가 불편한 사람들의 시점을 그대로 따라가며,

‘눈높이에 맞는 안내’가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했습니다.

 

천장 유도등 + 바닥 색상 타일 조합

→ 어두운 곳에서도 시야 확보, 방향 인지율 증가

 

📌 2025년 초, 군자역 시범 도입 완료

📌 사용자 만족도 및 이동 속도 개선 확인

 

 

✅ 사례 3. 고장도, 길도 알려주는 – ‘스마트 접근 안내 시스템’

 

“엘리베이터가 고장인지, 도착해서야 알게 된다면?”

 

학생들은 직접 지하철을 돌며 사용자 경험을 기록했고,

실시간 안내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IoT+비콘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고장 실시간 안내

→ 목적지 맞춤 경로 제공

 

📌 서울교통공사와 기술 실증 단계 협의 중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SLW LAB 리빙랩은 단순 수업이 아닙니다.

정책화로 이어지는 실전형 구조를 설계합니다.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역 이슈 발굴 & 사용자 관찰
  2. 공공데이터 수집 및 분석
  3. 탐구 주제 확정 & 제안서(RFP) 작성
  4. 기관 협의 및 실증 연계
  5. 성과보고서 + 포트폴리오로 정리
  6.  

💡 이런 성과가 학생과 대학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전공 탐구내용 진로에서의 이점
사회복지학과 교통약자 이동 실태 조사 NGO, 공공기관 포트폴리오
컴퓨터공학과 공공데이터 시각화 및 앱 기획 Civic Tech 실무 경험
행정학과 정책제안서 작성, RFP 기획 행정직/정책실무 포트폴리오

 

💬 기타 전공도 탐구 주제 맞춤 설계 가능

💬 교양, 캡스톤디자인, 비교과 등 다양한 운영방식 연계 가능


대학 실무자가 자주 묻는 질문에 답합니다

“교수님들 부담이 클까 봐...”

→ SLW LAB이 주제 구성, 일정관리, 성과 정리 전담 지원

 

“우리 지역엔 협력 기관이 없어요”

→ 전국 단위 공공·민간 기관 매칭 시스템 운영 중

 

“학생 참여율이 걱정돼요”

→ “내가 만든 결과가 정책이 됐다”는 경험은

→ 어떤 프로그램보다 강력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 이런 대학에 추천드립니다

  • 지역연계형 수업을 설계 중인 교과·교양 담당자
  • 진로기반 탐구 활동을 고민하는 학과장님
  • ‘정책 실현형 캡스톤디자인’을 고민 중인 교수님

SLW LAB은 학생에게는 실현 가능한 성과,

대학에는 구조화된 RISE 보고 지표를 제공합니다.

 

“정책이 되는 수업, 학생이 증명하는 포트폴리오”

이제, SLW LAB과 함께 설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