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메이커

심층 인터뷰 : 공공데이터 리빙랩을 위한 서울교통공사와의 협력

SLW LAB 2025. 2. 11. 15:58

 

🚶‍♀️ 이동이 단순한 과정이 아닌 장벽이 될 때

👩🏻 "엘리베이터를 찾지 못해 한참을 헤맸어요."

👨🏻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고장 나서 우회하느라 지하철을 놓쳤어요."

 

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보신 적 있나요?

우리에게는 단순한 불편일 수 있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집 밖을 나서는 일 자체가 도전이 됩니다.

 

지난 인터뷰를 통해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길이 끊긴 것과 같고,

유모차를 끄는 보호자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에게는

이동이 단순한 과정이 아닌 장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공공데이터 리빙랩, 성동장애인종합복지관과 경험을 공유하다

시민의 경험이 정책이 되는 순간🚇 “지하철 엘리베이터, 어디에 있는 거지?” 🦼  “환승 구간이 왜 이렇게 복잡할까?”  이런 질문은 우리가 흔히 할 수 있는 고민이지만, 교통약자들

slwlab.tistory.com

 


💡 그렇다면, ‘데이터로 이 장벽을 허물 수 있을까요?

에스엘더블유랩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서울교통공사와 손잡았습니다.

 

단순한 인터뷰 요청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공공데이터가 실제 서비스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법을 고민한 것이죠.

 

🚇 서울교통공사였을까요?

 

 

서울교통공사

 

www.seoulmetro.co.kr

 

서울교통공사는 단순히 지하철만 운영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서울 지하철 1~8호선, 9호선 2·3단계 구간(288, 311.7km)을 운영하며 하루 7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이용하는 세계적 수준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입니다.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제도, 인프라를 시대에 맞게 변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으며, 특지하철 엘리베이터 위치 정보, 환승 경로 및 이동 동선 데이터, 실시간 혼잡도 정보 등 이동 경험을 결정짓는 데이터를 가장 정확하게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방대한 데이터가 실제로 이용자들의 편의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연결되기까지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습니다.

 


🤝 에스엘더블유랩,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이끌다

공기업과의 협업이 쉽지 않은 현실 속에서, 에스엘더블유랩은 어떻게 서울교통공사를 참여기관으로 초대할 수 있었을까요?

 

비결은 다른 접근이었습니다.

 

단순히 인터뷰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공공데이터가 정책과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 잠깐, 자랑을 해보자면...

에스엘더블유랩은 프로젝트 기획 단계부터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전제로 설계한 유일한 팀이었습니다데이터가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도록처음부터 다르게 접근한 것이죠!

 

🚀 이동권 개선을 위한 데이터 협력, 어떻게 진행됐을까?

에스엘더블유랩은 서울교통공사와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향을 설정했습니다.

  • 공공데이터가 실질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는가?
  • 민간과 공공이 함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협력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가?
  • 교통약자의 실질적인 이동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는가?

이 모든 가능성을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검토하며, 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고민도 이어갔습니다.

 

📌(참고) 협력 기관과의 주요 논의 요약

  • 공공기관(구청) → 정책 설계에 데이터 기반 접근 도입
  • 서울교통공사 → 교통약자 정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보유 데이터 활용 논의
  • 민간 기업(네이버) → 공공데이터 연계를 통한 서비스 개선 가능성 검토
  • 사회적협동조합 무의 → 기존 데이터 수집 경험을 기반으로 정책 반영 가능성 논의

🚦 공공데이터로 이동권 개선,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찾은 길

이동권 개선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에스엘더블유랩과 서울교통공사는 데이터 개방과 협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논의했습니다.

 

논의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공데이터와 민간 기술 협업 확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모든 사람이 교통약자와 일반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과 개방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했습니다.

 

교통약자를 위한 실시간 데이터 활용 방안 논의

엘리베이터 고장 정보, 혼잡도 등 실시간 데이터가

보다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교통약자의 지하철 이용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우선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효과적인 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공공데이터 활용의 지속성과 협력 가능성 확인

공공데이터가 단순히 개방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정책과 서비스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했습니다.


📢 앞으로의 계획은?

에스엘더블유랩은 앞으로도 공공데이터를 실제 정책과 서비스로 연결하는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구축하며더 많은 기관과 협력하여 데이터 기반 정책 설계의 가능성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 데이터가 만드는 따뜻한 변화, 그 중심에 에스엘더블유랩이 있습니다.

 

더 많은 공공데이터가 사회를 따뜻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에스엘더블유랩과 함께 의미 있는 변화를 시작해 보세요.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문의하기]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