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메이커 3

RISE 사업, 대학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려면?

🧑🏻 "우리 대학도 RISE 사업을 해야 할까?"👦🏻 "지자체가 대학을 지원하는 건 좋은데, 정말 효과를 내려면?"👧🏻 "학생 프로젝트 성과가 지역과 산업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을까?"  📌 RISE(대학지원체계) 사업은 단순한 대학 재정 지원이 아닙니다.중앙정부가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가 대학을 지원하고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지원’을 받는다고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진짜 성과를 내려면, 대학과 지역이 긴밀하게 연결되고,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실행 모델이 필요합니다.🚀 대학이 RISE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핵심은 ‘네트워크’입니다.대학과 지역이 협력하려면 ‘올바른 네트워크’가 필수적입니다.📌..

솔루션메이커 2025.03.07

동대문역에서 왕십리역까지, 당신의 선택은?

👀 동대문역(4호선) ➡ 왕십리역(2호선) : 8분 소요👀 동대문역(4호선) ➡ 왕십리역(5호선) : 16분 소요 누구나 8분 걸리는 1번 경로를 선택하겠죠.그런데 교통약자의 입장에서는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 휠체어 이용자가 1번 경로를 선택하면?🚶‍♀️ 베이비카를 끄는 보호자가 1번 경로를 선택하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 이 길을 이용해야 한다면?👉 실제 소요 시간: 약 40~50분 이유는 간단합니다. 환승을 돕는 엘리베이터가 없기 때문입니다.단순히 몇 분 더 걸리는 문제가 아니라, 길이 끊긴 것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SLW LAB은 이런 현실을 데이터로 기록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움직였습니다.공공데이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현장의 목소리가 데이터가 ..

솔루션메이커 2025.02.23

솔루션 메이커, 시민이 공공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는 과정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까?" 교통약자들에게 지하철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이동의 자유를 상징합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잦은 고장, 작은 크기, 부족한 안내는이들의 자유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요?바로 사람들의 목소리와 협력을 통한 데이터 거버넌스입니다. SLW LAB은 이 목소리를 모으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하여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만들어가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이끌어왔습니다. https://www.venturesquare.net/951475 에스엘더블유랩 ‘공공데이터 기반 시민참여 리빙랩’,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에스엘더블유랩이 '2024 오픈데이터포럼 공공데이터 활용 리빙랩 프로젝트'에서 공공데이터..

솔루션메이커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