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를 타고 지하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까?"
교통약자들에게 지하철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이동의 자유를 상징합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잦은 고장, 작은 크기, 부족한 안내는
이들의 자유를 가로막는 커다란 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요?
바로 사람들의 목소리와 협력을 통한 데이터 거버넌스입니다.
SLW LAB은 이 목소리를 모으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하여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만들어가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이끌어왔습니다.
https://www.venturesquare.net/951475
에스엘더블유랩 ‘공공데이터 기반 시민참여 리빙랩’,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에스엘더블유랩이 '2024 오픈데이터포럼 공공데이터 활용 리빙랩 프로젝트'에서 공공데이터 활용 분야의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www.venturesquare.net
기사 출처 : [밀착카메라] '빙빙' 돌고 돈다…유모차 끌고 지하철 타보니 '진땀' | JTBC 뉴스
교통약자의 새로운 정의 : 데이터 페르소나
SLW LAB은 교통약자들의 목소리를 데이터의 출발점으로 삼으며
사람들의 경험과 요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초 거버넌스로 발전합니다.
💡데이터 페르소나란?
올바른 데이터 의사결정을 위해
이용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대상을 새롭게 정의하는
SLW LAB만의 데이터 방향 설정 도구입니다.
목소리와 데이터를 정책(RFP)으로 연결하다
SLW LAB은 공공데이터 관리 기관의 역할과 한계를 이해하며,
교통약자들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데이터와 정책을 연결하는 협력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공공데이터 관리 기관 관계자가 털어놓은 이야기는 이랬습니다.
👨💼 "데이터 수집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책 설계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 "현장의 요구를 데이터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체계가 부족합니다."
이와 같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SLW LAB은
체계적인 퍼실리테이션 과정과 공공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들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했습니다.
솔루션 메이커 : 시민에서 공공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다
SLW LAB은 시민참여 모델은 시민들이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시민들은 솔루션 메이커 과정을 통해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과 거버넌스 설계까지 주도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 데이터 이해와 분석 교육
공공데이터의 구조와 활용 방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 정책 설계 워크숍
데이터를 활용해 정책 제안서를 작성하는 실습 과정을 진행합니다.
시민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기법을 학습합니다.
📌 거버넌스 설계와 실행
공공기관과 협력해 데이터 기반 거버넌스를 설계하고,
이를 실행 가능한 구조로 발전시킵니다.
📌 실효성 검증과 개선
제안된 해결책이 실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며,
필요한 피드백을 반영해 개선합니다.
공공데이터 관리 기관과의 협력, 더 나은 정책으로 이어지다
SLW LAB의 정책 제안서는 단순히 현장의 목소리를 담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
공공데이터 관리 기관이 직면한 문제를 함께 고민하며,
교통약자들의 요구를 현실화할 수 있는 실행가능한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공공데이터가 단순한 기록에서
사회적 문제 해결의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문의하기]로 이동합니다. ▼
SLW LAB의 솔루션 메이커 과정은 시민이 가진
현장의 목소리와 문제의식을 공공데이터와 연결합니다.
시민에서 공공데이터 전문가로 성장하는 여정을 시작해 보세요.
'솔루션메이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층 인터뷰 : 공공데이터 리빙랩을 위한 서울교통공사와의 협력 (8) | 2025.02.11 |
---|---|
심층인터뷰 : 공공데이터 활용 기관 리빙랩 네트워크 만들기 (2) | 2025.02.07 |
공공데이터 리빙랩, 성동장애인종합복지관과 경험을 공유하다 (10) | 2025.01.31 |
퍼실리테이션: 데이터 기반 시민 교육의 생생한 현장 (2) | 2025.01.24 |
사람들의 목소리에서 시작하는 공공데이터 (0) | 2025.01.06 |